수메르 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메르 종교는 수메르 문명의 종교로, 기원전 2900년경부터 기원전 2000년경까지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번성했다. 쐐기 문자로 기록된 신화와 종교적 텍스트는 구전으로 전해지다가 초기 왕조 시대에 나타났으며, 신전은 도시 국가의 문화, 종교, 정치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수메르인들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하늘, 공기, 물, 대지 등 자연 현상을 의인화한 신들을 숭배했다. 주요 신으로는 안, 엔릴, 엔키, 인안나 등이 있으며, 이들의 이야기는 아카드, 바빌로니아, 후르리인, 히타이트 등 다른 고대 근동 종교에도 영향을 미쳤다. 수메르 종교의 홍수 신화는 성경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와 유사하며, 지하 세계에 대한 개념 역시 유대교의 쉐올과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소포타미아 신화 - 에누마 엘리시
에누마 엘리시는 아카드어로 기록된 고대 바빌로니아의 창조 신화 서사시로, 마르두크가 티아마트를 물리치고 세계를 창조하는 과정을 담고 있으며, 바빌로니아의 세계관과 마르두크의 지위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헌이다. - 메소포타미아 신화 - 아트라하시스 서사시
아트라하시스 서사시는 메소포타미아 신화의 대홍수 이야기를 다룬 아카드어 서사시로, 신들의 분노로 인한 홍수로부터 아트라하시스가 가족과 동물들을 구하는 이야기가 담겨 있으며, 인류의 기원과 종말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고대 종교 - 종교사학파
종교사학파는 텍스트 뒤의 세계를 탐구하며 기독교의 절대 진리 주장을 거부하고 혼합주의적 기원을 주장하며 성경 역사와 텍스트 분석에 새로운 연구 분야를 개척했다. - 고대 종교 - 로마 신화
로마 신화는 로마인들이 믿었던 신들과 영웅에 대한 이야기로, 그리스 신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로마의 기원, 정치, 도덕 등을 반영하고, 예술과 문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 이라크의 역사 - 쿠웨이트 침공
쿠웨이트 침공은 1990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기습 침공하여 점령한 사건으로, 국제 사회의 규탄과 다국적군의 개입으로 걸프 전쟁이 발발하여 쿠웨이트가 해방되었다. - 이라크의 역사 - 쿠웨이트 공화국
쿠웨이트 공화국은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 후 세워진 괴뢰 정부로, 이라크의 합병 선언과 국제 사회의 반대로 단기간에 소멸되었으며, 이는 걸프 전쟁의 발발 원인이 되었다.
수메르 종교 | |
---|---|
개요 | |
![]() | |
신앙 체계 | |
유형 | 고대 종교 |
지역 | 메소포타미아 |
시기 | 기원전 4천년기 ~ 기원전 3천년기 |
주요 신 | |
남신 | 안 엔릴 엔키 닌후르쌍 난나 우투 이쉬쿠르 마르두크 아슈르 |
여신 | 키 에레슈키갈 이난나 닌릴 가타무그 |
다른 존재 | |
정령 | 라마수 알라투 에딤무 길 세다 |
영웅 | 아다파 엔메르카르 길가메시 루갈반다 지우수드라 |
신화 | |
창조 신화 | 수메르 창조 신화 에리두 창조 |
홍수 신화 | 아트라하시스의 서사시 수메르 홍수 설화 |
의례 | |
주요 의례 | 신전 의례 |
기타 의례 | 제물 점술 강령술 |
종교 제도 | |
신전 | 지구라트 |
사제 | 파세수 |
영향 | |
관련된 종교 |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 바빌로니아 종교 |
2. 역사
수메르 문명은 기원전 4500년에서 4000년 사이에 시작된 것으로 여겨진다.[56] 기원전 3000년경 초기 수메르 문학에는 아누, 엔릴, 닌후르사그, 엔키 네 신이 등장하며, 이들은 때때로 서로 간섭하기도 했지만 협력하여 창조를 행했다.[57]
수메르 신들의 목록과 서열, 관계는 설형 문자로 기록된 점토판 해독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58]
2. 1. 초기 왕조 시대 (기원전 2900년경 ~ 기원전 2300년경)
문자의 발명 이전의 수메르 신화는 구전으로 전해져 내려왔다. 초기의 수메르 쐐기 문자는 기록 수단에 불과했지만, 초기 왕조 시대가 되면서 찬가 형태의 종교 문학[48], 그리고 남 슈브(nam-šub)라고 불리는 주술에 사용되었다[49]。초기 수메르 도시 국가에서 사원은 단을 높인 작은 원룸 형태의 건물이었다. 이후 초기 왕조 시대에 여러 개의 방과 테라스를 갖게 되었다. 수메르 문명이 쇠퇴할 무렵에는 지구라트가 메소포타미아 종교의 사원 양식으로 적합한 것으로 여겨지게 된다.[50] 사원은 문화, 종교, 정치의 중심지였으며, 대략 기원전 2500년경에 루갈(Lu-gal,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남자+크다'[49], 군사적 맥락을 배경으로 하는 왕)이 등장하면서 정치와 군사의 중심은 궁전으로 분리되었다.[50]
- - 루갈, 즉 왕이 등장하기 전까지 수메르의 도시 국가는 엔(신관) 조직에 의한 사실상의 신정 정치가 이루어졌다. 신관들은 도시 국가의 문화, 종교 유지를 담당했으며, 인간과 자연의 힘을 연결하는 매개자로 여겨졌다. 신관은 사원에 거주하며 도시의 존망을 좌우하는 대규모 관개 사업을 포함한 도시 국가의 여러 문제에 대처하며 통치를 했다.
2. 2. 아카드 제국 시대 (기원전 2334년 ~ 기원전 2154년)
사르곤 대왕이 수메르 지역을 통일하고 아카드 제국을 건설하면서, 수메르 신화는 아카드 신화와 융합되기 시작했다.3. 신앙 체계
수메르인들은 우주가 신과 같은 일련의 우주적 탄생을 통해 생겨났다고 믿었다. 먼저, 원시의 물인 남무가 키(지구)와 안(하늘)을 낳았고, 이들이 결합하여 엔릴이라는 아들을 낳았다. 엔릴은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땅을 자신의 영역으로 삼았다. 인간은 안과 키의 아들인 안키 또는 엔키에 의해 창조되었다고 믿었다.
천국은 오직 신들만을 위해 남겨졌고, 모든 인간의 영혼은 죽은 후에 살아있는 동안의 행동에 관계없이 땅 깊숙한 곳에 있는 차갑고 어두운 동굴인 쿠르로 간다고 믿었다. 쿠르는 여신 에레시키갈이 다스렸으며, 그곳에서 유일한 음식은 마른 먼지였다. 후기에는 에레시키갈이 자신의 남편인 죽음의 신 네르갈과 함께 통치한다고 믿어졌다.
수메르 판테온의 주요 신들은 다음과 같다.
아카드 제국 시대에 성, 아름다움, 전쟁의 여신인 이난나가 수메르 전역에서 널리 숭배되었으며, 그녀의 유명한 이야기인 저승으로의 하강을 포함한 많은 신화에 등장했다.
수메르 종교는 후르족, 아카드인, 바빌로니아, 아시리아인 및 기타 중동 문화 집단의 신화와 종교를 포함, 후기 메소포타미아 민족들의 종교적 믿음에 큰 영향을 미쳤다. 비교 신화 학자들은 고대 수메르인들의 이야기와 히브리 성경 초기에 기록된 이야기 사이의 유사점을 발견했다.[82]
3. 1. 쐐기문자 기록
수메르의 신화들은 문자가 발명되기 전까지 구전으로 전수되었다. 초기 수메르 쐐기문자는 주로 기록을 보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수메르 역사에서 기원전 29세기경에 시작된 초기 왕조 시대 후대에 들어서야 신전 찬가[82]와 남수브(nam-šub: 전치사 + "던지다")라고 불린 일종의 주문(呪文)[68]과 같은 종교적 텍스트가 나타났다.[82]

3. 2. 신전
수메르의 도시 국가들에서 원래의 신전은 소규모였는데 높이 올린 1실(室)의 구조로 되어 있었다. 초기 왕조 시대에, 신전들은 높이 올린 테라스들과 여러 개의 실(室)이 있는 구조로 발전하였다. 수메르 문명의 말기에는 메소포타미아의 종교적 중심지, 즉 신전으로 지구라트가 가장 선호되었다.[69] 신전들은 루갈(Lu-gal): 인간 + 큰)[68]이라고 칭해진 군사적인 왕이 나타나는 기원전 2500년경까지 수메르의 문화적·종교적·정치적 중심지의 역할을 했다. 이때 이후로는 정치적·군사적 지도력의 중심지가 신전이 아닌 별도의 궁전에 있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69]3. 3. 성직자
루갈이 나타나기 전에는 엔(En) 집단, 즉 일군의 대사제들이 수메르 도시 국가의 신정정치 체제를 이끌었다. 성직자들은 해당 도시 국가의 문화 및 종교적 전통을 유지하고, 하늘과 땅의 힘과 인간 사이를 중재하는 역할을 했다. 이들은 신전에 거주하며 대규모 관개 시설 관리 등 문명 유지에 필요한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4]3. 4. 의식
우르 제3왕조 시대 라가시에는 애도가 사제 62명과 성악가 및 악기 연주자 180명이 의식에 참여하였다고 한다.[82][11]4. 교의
수메르인들은 다신교를 믿었으며, 그들의 신은 하늘과 땅의 힘을 의인화한 존재였다. 기원전 제3천년기(3000~2001 BC) 중반, 수메르의 신들은 더 인간중심적이 되었고 "자연의 신들이 도시의 신들로 변형되었다". 엔키와 인안나와 같은 신들은 하늘의 신 안이나 수메르 판테온의 최고신 엔릴로부터 각자의 계급과 힘, 지식을 부여받는다고 여겨졌다.[73]
이러한 변화는 이웃한 아카드 문명의 종교의 영향이나 수메르 도시 국가들 사이의 전쟁이 빈발해짐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전쟁으로 인해 군사적, 정치적 실권자인 루갈이 등장하면서 종교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73]
수메르 판테온에는 다양한 신들이 있었으며, 그 순서와 관계는 점토판 해독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58] 수메르 신들의 대다수는 "안의 후손"이라는 뜻의 "아눈나"에 속하였다.[74] 한편, 엔릴과 인안나를 포함한 일곱 신들은 "아눈나키"라고 불리는 "하계 또는 사후세계의 심판관"에 속하였다.[74] 아눈나키는 하늘(안)에서 지상(키)으로 내려온 자들을 의미한다. 우르 제3왕조 시대 동안, 수메르 판테온에는 60 곱하기 60 (3600)의 신이 있었다고 한다.[75]
이름 | 설명 |
---|---|
난나 | 남신. 달의 신. 도시 국가 우르의 수호신들 중 하나[76] |
남무 | 여신. 태초의 바다인 엔구르로, 남신 안(하늘)과 여신 키(대지)와 다른 최초의 남신과 여신들을 낳았다. 남무는 최종적으로 여신 티아마트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닌갈 | 여신. 달의 신 난나의 부인[77] |
닌릴 | 여신. 공기의 신으로 엔릴의 부인. 도시 국가 니푸르의 수호여신들 중 하나. 수메르인들은 이 여신이 동일한 신전에 엔릴과 함께 거주한다고 믿었다.[78] |
닌우르타 | 남신. 전쟁과 농업의 신. 수메르의 바람의 신들 중 하나. 도시 국가 기르수의 수호신, 도시 국가 라가시의 수호신들 중 하나 |
닌후르사그 | 여신. 대지의 여신[79] |
안 | 남신. 하늘의 신, 창공 그 자체 |
에레슈키갈 | 여신. 하계 또는 사후세계인 키갈, 즉 이르칼라의 신 |
엔릴 | 남신. 공기의 신. 릴(Lil)은 공기를 뜻한다. 도시 국가 니푸르의 수호신 |
엔키 | 남신. 담수의 바다, 남성의 생식력 그리고 지식의 신. 도시 국가 에리두의 수호신 |
우투 | 남신. 도시 국가 시파르의 에바르바라 신전에 거주하는 태양신[80] |
인안나 | 여신. 전쟁, 여성의 생식력 그리고 성애(性愛)의 신. 도시 국가 우루크의 수호여신 |
4. 1. 우주론
수메르인들은 우주가 태초의 소금물 바다로 둘러싸인 돔 형태라고 생각했다.[70] 이들은 지상 대지 아래에 지하 세계와 압주(Abzu)라 불리는 담수 바다가 있다고 믿었다. 돔 모양 창공의 남신은 안(An), 대지의 여신은 키(Ki)라고 불렸다. 처음에는 지하 세계를 대지의 여신 키의 연장선으로 생각했으나, 후대에 키갈(Kigal)이라는 별개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태초의 소금물 바다는 남무(Nammu) 여신으로 불렸으며, 우르 제3왕조 이후에는 티아마트(Tiamat) 여신으로 알려졌다.4. 2. 창조 신화
수메르 신화에 따르면, 태초에는 원시 바다인 남무만이 존재했다.[35] 남무는 하늘의 신 안과 땅의 여신 키를 낳았고, 이 둘의 결합으로 바람, 비, 폭풍의 신 엔릴이 태어났다.[35] 엔릴은 하늘과 땅을 분리하고 땅을 자신의 영역으로 삼았으며, 이후 수메르 판테온의 주신이 되었다.[35][72]엔릴은 공기의 여신 닌릴을 강간하여 달의 신 난나를 낳았다.[72] 난나는 갈대의 여신 닌갈과 결혼하여 전쟁과 풍요의 여신 인안나와 태양의 신 우투를 낳았다.[72]
신들의 노동을 대신하기 위해 지혜의 신 엔키는 어머니 신인 남무와 함께 찰흙으로 인간을 창조했다.[53] 그러나 신들은 늘어난 인간을 통제하기 어려워지자 '대홍수'를 일으켜 멸망시키려 했다.[71][54] 엔키는 신실한 왕이자 신관이었던 지우스드라에게 이 사실을 알렸고, 지우스드라는 큰 배를 만들어 가족과 동물을 태워 살아남았다.[54] 홍수 후 지우스드라가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자, 신들은 그에게 영원한 생명을 주고 동쪽의 딜문에서 살게 했다.[54]
4. 3. 신
수메르인은 원래 다신교를 믿었으며, 그들의 신은 하늘과 땅의 힘을 의인화한 존재였다. 기원전 제3천년기(3000~2001 BC) 중반, 수메르의 신들은 더 인간중심적이 되었고 "자연의 신들이 도시의 신들로 변형되었다". 엔키(Enki)와 인안나(Inanna)와 같은 신들은 하늘의 신 안이나 수메르 판테온의 최고신 엔릴로부터 각자의 계급과 힘, 지식을 부여받는다고 여겨졌다.[73]이러한 변화는 이웃한 아카드 문명의 종교의 영향이나 수메르 도시 국가들 사이의 전쟁이 빈발해짐에 따른 결과일 수 있다. 전쟁으로 인해 군사적, 정치적 실권자인 루갈이 등장하면서 종교에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인다.[73]
수메르 판테온에는 다양한 신들이 있었으며, 그 순서와 관계는 점토판 해독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58]
4. 3. 1. 판테온
수메르 신들의 대다수는 "안의 후손"이라는 뜻의 "아눈나(Anunna)"라는 부류에 속하였다.[74] 한편, 엔릴과 인안나를 포함한 일곱 신들은 "아눈나키(Anunnaki)"라고 불리는 "하계 또는 사후세계의 심판관"에 속하였다.[74] 아눈나키는 하늘(안)에서 지상(키)으로 내려온 자들을 의미한다. 우르 제3왕조 시대 동안, 수메르 판테온에는 60 곱하기 60 (3600)의 신이 있었다고 한다.[75]주요 수메르 신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설명 |
---|---|
난나(난나) | 남신. 달의 신. 도시 국가 우르의 수호신들 중 하나[76] |
남무(Nammu) | 여신. 태초의 바다인 엔구르(Engur)로, 남신 안(하늘)과 여신 키(대지)와 다른 최초의 남신과 여신들을 낳았다. 남무는 최종적으로 여신 티아마트(Tiamat)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닌갈(Ningal) | 여신. 달의 신 난나의 부인[77] |
닌릴(Ninlil) | 여신. 공기의 신으로 엔릴의 부인. 도시 국가 니푸르(Nippur)의 수호여신들 중 하나. 수메르인들은 이 여신이 동일한 신전에 엔릴과 함께 거주한다고 믿었다.[78] |
닌우르타(Ninurta) | 남신. 전쟁과 농업의 신. 수메르의 바람의 신들 중 하나. 도시 국가 기르수의 수호신, 도시 국가 라가시의 수호신들 중 하나 |
닌후르사그(Ninhursag) | 여신. 대지의 여신[79] |
안 | 남신. 하늘의 신, 창공 그 자체 |
에레슈키갈(Ereshkigal) | 여신. 하계 또는 사후세계인 키갈(Kigal), 즉 이르칼라(Irkalla)의 신 |
엔릴(Enlil) | 남신. 공기의 신. 릴(Lil)은 공기를 뜻한다. 도시 국가 니푸르의 수호신 |
엔키(Enki) | 남신. 담수의 바다, 남성의 생식력 그리고 지식의 신. 도시 국가 에리두의 수호신 |
우투(Utu) | 남신. 도시 국가 시파르의 에바르바라 신전(E'barbara temple)에 거주하는 태양신[80] |
인안나(Inanna) | 여신. 전쟁, 여성의 생식력 그리고 성애(性愛)의 신. 도시 국가 우루크의 수호여신 |
4. 3. 2. 주요 신
수메르 신화의 주요 신들은 대부분 "안의 후손"이라는 뜻의 "아눈나"에 속한다. 엔릴과 인안나를 포함한 일곱 신들은 "아눈나키"로 알려진 "하계의 심판관"에 속했다.[74] 우르 제3왕조 시대에는 3600 (60 곱하기 60)의 신이 있었다고 한다.[75]이름 | 성별 | 설명 |
---|---|---|
난나 | 남신 | 달의 신. 우르의 수호신.[76] |
남무 | 여신 | 태초의 바다 엔구르의 신격화. 안(하늘)과 키(대지)를 낳고, 다른 최초의 신들을 낳았다. 티아마트로 알려지게 되었다. |
닌갈 | 여신 | 달의 신 난나의 부인.[77] |
닌릴 | 여신 | 공기의 신. 엔릴의 부인. 니푸르의 수호여신. 엔릴과 같은 신전에 거주한다고 믿어졌다.[78] |
닌우르타 | 남신 | 전쟁과 농업의 신. 수메르 바람의 신 중 하나. 기르수와 라가시의 수호신. |
닌후르사그 | 여신 | 대지의 여신.[79] |
안 | 남신 | 하늘의 신, 창공 그 자체. |
에레슈키갈 | 여신 | 이르칼라라고 불리는 하계의 신. |
엔릴 | 남신 | 공기의 신. 니푸르의 수호신. |
엔키 | 남신 | 담수, 남성의 생식력, 지식의 신. 에리두의 수호신. |
우투 | 남신 | 시파르의 에바르바라 신전에 거주하는 태양신.[80] |
인안나 | 여신 | 전쟁, 여성의 생식력, 성애의 신. 우루크의 수호여신. |
5. 유산
기원전 2340년 아카드의 사르곤이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면서, 수메르의 신화와 종교는 아카드 문화에 빠르게 통합되었다.[81] 수메르의 신들은 대응하는 아카드의 신들로 나타났는데, 일부는 후대의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시대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의 신 안은 아카드의 신 아누가 되었고, 수메르의 신 엔키는 아카드의 신 에아가 되었다. 수메르의 신 닌우르타와 엔릴은 아카드의 판테온에서 거의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
기원전 17세기 중반 아모리인계 바빌로니아인들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패권을 잡았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동안 수메르어와 아카드어는 종교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유지되었다. 수메르 신화 문헌의 대부분은 이 시대에서 비롯되었다.[82] 전해지는 형태를 보면, 《길가메시 서사시》의 바빌로니아 버전처럼 수메르 문헌을 전사한 경우도 있고, 《에누마 엘리시》처럼 바빌로니아 신화 문헌 속에 수메르와 아카드의 영향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다. 수메르-아카드의 판테온은 이 시대에 변화되었는데, 대표적인 예가 마르둑이 바빌로니아 판테온의 최고신 혹은 주신이 된 것이다. 수메르의 여신 인안나(이난나)는 이 시대에 이슈타르로 발전하였다.[5]
늦어도 기원전 1200년경에 후르리인은 아카드의 신 아누(안)를 자신들의 판테온으로 들였다.[83] 이와 같이 아카드 신들을 들여서 성립된 후르리인의 다른 신들로는 아야스(에아에 대응), 샤우슈카(이슈타르에 대응)와 닌릴이 있다.[83] 닌릴을 들일 당시, 이 여신의 신화 내용은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이미 대폭으로 변경된 상태였으며, 이 바뀐 내용이 들어왔다.[83]
수메르 종교의 이야기들은 다른 고대 근동의 종교들의 이야기들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성경》의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오는 수메르의 홍수 신화와 닮아 있다.[84] 유대교의 하계 또는 사후세계인 쉐올은 수메르 종교의 키갈, 즉 바빌로니아 종교의 이르칼라와 아주 유사한데, 수메르 종교에서는 여신 에레슈키갈이 혼자서 키갈을 다스렸고, 바빌로니아 종교에서는 에레슈키갈의 남편으로 죽음의 신 네르갈이 도입되어 에레슈키갈과 함께 이르칼라를 다스렸다.[84] 수메르 연구의 저명한 학자인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는 수메르인과 아카드인의 여러 "잠언들(proverbs)"과 후대의 히브리인의 잠언들 간의 유사성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는 이와 같이 유사한 잠언들 중 많은 것들이 《타나크》(또는 《구약성경》)의 〈잠언〉에 포함되어 주요한 내용을 이루고 있다고 말하였다.[84]
5. 1. 아카드
기원전 2340년 아카드의 사르곤이 수메르 지역을 정복하면서, 수메르의 신화와 종교는 아카드 문화에 빠르게 통합되었다.[81] 수메르의 신들은 대응하는 아카드의 신들로 나타났는데, 일부는 후대의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시대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수메르의 신 안(An)은 아카드의 신 아누(Anu)가 되었고, 수메르의 신 엔키(Enki)는 아카드의 신 에아(Ea)가 되었다. 수메르의 신 닌우르타(Ninurta)와 엔릴(Enlil)은 아카드의 판테온에서 거의 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되었다.5. 2. 바빌로니아
기원전 17세기 중반 아모리인계 바빌로니아인들이 메소포타미아 남부의 패권을 잡았다.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 동안 수메르어와 아카드어는 종교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유지되었다. 수메르 신화 문헌의 대부분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서 비롯되었다.[82] 전해지는 형태를 보면, 《길가메시 서사시》의 바빌로니아 버전처럼 수메르 문헌을 전사(轉寫)한 경우도 있고, 《에누마 엘리시》처럼 바빌로니아 신화 문헌 속에 수메르와 아카드의 영향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다. 수메르-아카드의 판테온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변화되었는데, 대표적인 예가 마르둑이 바빌로니아 판테온의 최고신 혹은 주신이 된 것이다. 수메르의 여신 인안나(이난나)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이슈타르로 발전하였다.[5]5. 3. 후르리인과 히타이트
늦어도 기원전 1200년경에 후르리인은 아카드의 신 아누(안)를 자신들의 판테온으로 들였다.[83] 이와 같이 아카드 신들을 들여서 성립된 후르리인의 다른 신들로는 아야스(에아에 대응), 샤우슈카(이슈타르에 대응)와 닌릴이 있다.[83] 닌릴을 들일 당시, 이 여신의 신화 내용은 바빌로니아인에 의해 이미 대폭으로 변경된 상태였으며, 이 바뀐 내용이 들어왔다.[83]5. 4. 기타 유사점
수메르 종교의 이야기들은 다른 고대 근동의 종교들의 이야기들과 유사하다. 예를 들어, 《성경》의 노아와 대홍수에 대한 이야기는 《길가메시 서사시》에 나오는 수메르의 홍수 신화와 닮아 있다.[84] 유대교의 하계 또는 사후세계인 쉐올(Sheol)은 수메르 종교의 키갈(Kigal), 즉 바빌로니아 종교의 이르칼라(Irkalla)와 아주 유사한데, 수메르 종교에서는 여신 에레슈키갈(Ereshkigal)이 혼자서 키갈을 다스렸고, 바빌로니아 종교에서는 에레슈키갈의 남편으로 죽음의 신 네르갈(Nergal)이 도입되어 에레슈키갈과 함께 이르칼라를 다스렸다.[84] 수메르 연구의 저명한 학자인 사무엘 노아 크레이머(Samuel Noah Kramer)(1897~1990)는 수메르인과 아카드인의 여러 "잠언들(proverbs)"과 후대의 히브리인의 잠언들 간의 유사성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는 이와 같이 유사한 잠언들 중 많은 것들이 《타나크》(또는 《구약성경》)의 〈잠언〉에 포함되어 주요한 내용을 이루고 있다고 말하였다.[84]참조
[1]
웹인용
https://web.archive.[...]
2021-03-07
[2]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3]
서적
The Sumerians: Their History, Culture, and Character
https://archive.org/[...]
The Univ. of Chicago Press
1963
[4]
서적
A guide to the Babylonian and Assyrian antiquities
https://archive.org/[...]
British Museum
1922
[5]
웹사이트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09-06-22
[6]
웹사이트
The Sumerian Lexicon
http://www.sumerian.[...]
John A. Halloran
2009-06-23
[7]
서적
Art of the First Cities: The Third Millennium B.C. from the Mediterranean to the Indus
https://archive.org/[...]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3
[8]
서적
Ur excavations
https://archive.org/[...]
Trustees of the Two Museums by the aid of a grant from the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1900
[9]
웹사이트
Inside a Sumerian Temple
http://mi.byu.edu/pu[...]
The Neal A.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at Brigham Young University
2009-06-22
[10]
서적
The Sumerians
W. W. Norton
1965
[11]
간행물
Homo Ludens in Early Mesopotamia
1975
[12]
웹사이트
The Firmament and the Water Above
http://faculty.gordo[...]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3 (1991), 232-233
2010-02-20
[13]
뉴스
The Enchanted Worlds of Marshall Sahlins
https://www.thenatio[...]
[14]
웹사이트
Louvre Museum Official Website
http://cartelen.louv[...]
2020-03-25
[15]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Greenwood
1998
[16]
서적
Gods, Graves, and Scholars: The Story of Archaeology
Alfred A. Knopf
[17]
서적
Ancient Mesopotamian Religion and Mythology: Selected Essays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20-10-06
[18]
웹사이트
An/Anu (god): Mesopotamian sky-god, one of the supreme deities; known as An in Sumerian and Anu in Akkadian
http://oracc.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2017-10-14
[19]
서적
Gods, Demons and Symbols of Ancient Mesopotamia: An Illustrated Dictionary
The British Museum Press
[20]
서적
The Early History of Heave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10-06
[21]
웹사이트
Ancient Mesopotamian Beliefs in the Afterlife
https://www.worldhis[...]
2021-04-23
[22]
간행물
Was dust their food and clay their bread?: Grave goods, the Mesopotamian afterlife, and the liminal role of Inana/Ištar
http://booksandjourn[...]
Brill
2017-10-27
[23]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4]
서적
The Sources of the Old Testament: A Guide to the Religious Thought of the Old Testament in Context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13-05-07
[25]
서적
God in Translation: Deities in Cross-cultural Discourse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3-05-07
[26]
서적
The Dictionary of Mythology: An A-Z of Themes, Legends, and Heroes
Arcturus Publishing Limited
2015
[27]
간행물
The Sumerian Deluge Myth: Reviewed and Revised
British Institute at Ankara
1983
[28]
서적
An Introduction to Ancient Mesopotamian Religion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17-08-27
[29]
간행물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1996
[30]
서적
The Literature of Ancient Sum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9-20
[31]
웹사이트
An adab to Ninlil (Ninlil A)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32]
서적
History of the World in 1,000 Objects
DK and the Smithsonian
2014-10
[33]
서적
Inanna: Queen of Heaven and Earth: Her Stories and Hymns from Sumer
Harper&Row Publishers
[34]
간행물
Inanna-Ishtar as Paradox and a Coincidence of Opposites
1991-02
[35]
서적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Revised Edition
http://www.sacred-t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7-06-17
[36]
논문
Inanna/Ishtar as a Figure of Controversy.
https://books.google[...]
Mouton Publishers
2020-10-06
[37]
웹사이트
A hymn to Utu (Utu B)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38]
웹사이트
A balbale to Suen (Nanna A)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39]
웹사이트
A balbale to Nanna (Nanna B)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40]
웹사이트
Inana's descent to the nether world
http://etcsl.orinst.[...]
Oxford University
2017-06-17
[41]
Webarchive
Nammu
https://www.academia[...]
2021-06-05
[42]
웹사이트
Anunna (Anunnaku, Anunnaki) (a group of gods)
http://oracc.museum.[...]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2017-06-17
[43]
Webarchive
The Staff of Ninsubura
https://www.academia[...]
2021-06-06
[44]
웹사이트
Mesopotamia: the Sumerians
http://wsu.edu/~de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09-06-22
[45]
웹사이트
Hurrian Mythology REF 1.2
http://home.comcast.[...]
Christopher B. Siren
2009-06-23
[46]
서적
Sumerian Mythology: A Study of Spiritual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Third Millennium B.C.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2
[47]
서적
From the Tablets of Sumer.
The Falcon's Wing Press
1956
[48]
웹사이트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09-06-22
[49]
웹사이트
The Sumerian Lexicon
http://www.sumerian.[...]
John A. Halloran
2009-06-23
[50]
웹사이트
Inside a Sumerian Temple
http://mi.byu.edu/pu[...]
The Neal A.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at Brigham Young University
2009-06-22
[51]
웹사이트
The Firmament and the Water Above
http://faculty.gordo[...]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3 (1991), 232-233
2010-02-20
[52]
웹사이트
Enlil and Ninlil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09-06-22
[53]
문서
岡田&小林 (2008), 第一章 「創世神話」
[54]
문서
岡田&小林 (2008), 第二章 神々が送る大洪水の物語
[55]
문서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56]
서적
Handbook to life in ancient Mesopotamia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57]
서적
The Sources of the Old Testament: A Guide to the Religious Thought of the Old Testament in Context
https://books.googl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4-05-18
[58]
서적
God in Translation: Deities in Cross-cultural Discourse in the Biblical World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59]
문서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60]
웹사이트
Gilgamec, Enkidu and the nether world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61]
웹사이트
A balbale to Suen (Nanna A)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62]
웹사이트
A balbale to Nanna (Nanna B)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63]
웹사이트
An adab to Ninlil (Ninlil A)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64]
웹사이트
A hymn to Utu (Utu B)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0-02-20
[65]
웹사이트
Mesopotamia: the Sumerians
http://wsu.edu/~de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09-06-22
[66]
웹사이트
Hurrian Mythology REF 1.2
http://home.comcast.[...]
Christopher B. Siren
2009-06-23
[67]
문서
From the Tablets of Sumer
[68]
웹인용
The Sumerian Lexicon
http://www.sumerian.[...]
John A. Halloran
2012-06-29
[69]
웹인용
Inside a Sumerian Temple
http://mi.byu.edu/pu[...]
The Neal A. Maxwell Institute for Religious Scholarship at Brigham Young University
2012-06-29
[70]
웹인용
The Firmament and the Water Above
http://faculty.gordo[...]
Westminster Theological Journal 53 (1991), 232-233
2010-02-20
[71]
웹인용
Sumerian Myth
http://faculty.gvsu.[...]
Grand Valley State University
2010-02-20
[72]
웹인용
Enlil and Ninlil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09-06-22
[73]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1998
[74]
웹사이트
Anunnaki
http://endic.naver.c[...]
네이버 영한사전
2012-07-04
[75]
서적
Daily Life in Ancient Mesopotamia
1998
[76]
웹인용
A balbale to Suen (Nanna A)
https://web.archiv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5
[77]
웹인용
A balbale to Nanna (Nanna B)
https://web.archiv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5
[78]
웹인용
An adab to Ninlil (Ninlil A)
https://web.archiv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5
[79]
웹인용
Gilgamec, Enkidu and the nether world
https://web.archiv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5
[80]
웹인용
A hymn to Utu (Utu B)
https://web.archive.[...]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5
[81]
웹인용
Mesopotamia: the Sumerians
https://web.archive.[...]
Washington State University
2009-06-22
[82]
웹인용
Sumerian Literature
http://etcsl.orinst.[...]
Electronic Text Corpus of Sumerian Literature
2012-07-06
[83]
웹인용
Hurrian Mythology REF 1.2
http://home.comcast.[...]
Christopher B. Siren
2009-06-23
[84]
서적
From the Tablets of Sumer
195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